메뉴버튼 메뉴버튼

국방일보

검색

어떤 기사를 찾으시나요?

검색창 닫기
  • 홈
  • 국방
  • 기획
  • 국내·외
  • 포토라운지
  • 오피니언
  • 엔터·스포츠
  • 라이브러리
  • 무기백과
  • 국방저널
국방일보
메뉴 닫기

국군과 국방의 참소식을 알리는 참신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회원가입 로그인
  • 국방
  • 기획
  • 국내·외
  • 포토라운지
  • 오피니언
  • 엔터·스포츠
  • 라이브러리
  • 무기백과
  • 국방저널
PDF PC 버전 보기
  • 하동읍성...백의종군 충무공 머물러

    하동읍성河東邑城■ 위치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 양경산(陽慶山)■ 축조 : 조선 태종 17년(1417)면적 123,017㎡, 길이 1.4㎞, 높이 1.2m, 너비 1∼2m해안 일대에 쌓은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연해(沿海)읍성계곡을 감싸듯 쌓은 포곡식 석성(石城)■ 사적 : 사적 제453호 (2004년 5월 31일 지정) 하동읍성은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의 해발 149m 높이의 양경산(陽慶山)에 위치한 조선시대 성곽이다. 조선 ...
    2022.11.18 09:06
  • 충남당진 면천읍성

    ■ 성 내부에 남아있는 옛 시설물조선시대왜구 침입에 대비 축성전형적인 읍성의 모습 ...둘레 약 1336m전형적인 조선시대 읍성의 모습을 갖춘 충남 당진의 면천읍성은 1439년(세종 21)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쌓은 석축 성이다.동서가 긴 달걀 모양인 성의 둘레는 약 1336m로, 면천읍성 안내문은 “성을 쌓을 당시는 치성과 옹성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가 1564m로 추정된다”며 “현재 옹성 1개소, 문지 4개소를 비...
    2021.06.08 15:05
  • 경북 구미 금오산성

    ■ 구미시 금오산성절벽·계곡 등 자연 지세 따라 축조전략적 중요성으로 인조·고종 때 증·개축경상북도 구미시에는 칠곡군과 김천시 경계에 걸쳐 금오산 도립공원이 있다. 유서 깊은 문화유적과 뛰어난 경관으로 1970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이다. 정상부근에는 금오산성이 있는데 특이하게도 이곳 바로 위로 케이블카가 지나가 하늘에서 산성을 관망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구미시에는 또 ...
    2021.06.01 15:21
  • 보령읍성, 임진왜란 등 거치며 대부분 파손

    ■ 고려 말 왜구 침입 대비해 쌓아임진왜란 등 거치며 대부분 파손보령읍성은 둘레가 630m, 높이가 3.5m로 남·북·동에 3개의 문이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지금은 남문인 해산루(海山樓)와 옆 성벽 70m, 북쪽 성벽 360여m만 복원된 상태다.보령읍성의 주 출입문인 남문 문루 건물은 보령관아의 관아문으로 현재는 해체보수공사가 진행 중이다. 올해 내로 공사가 끝나 제 모습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지금은 보령(대천)에 내주고...
    2021.05.31 07:19
  • 보령 남포읍성, 고려 우왕 때 축조 시작

    ■ 서해를 지키는 성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읍내리에 있는 남포읍성은고려 우왕 때 서해로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 위해 축성됐다.이후 1390년(공양왕 2)에 성을 완성, 군대가 주둔할 수 있는 진영을 설치했다. 성의 길이는 900m, 높이 3.5m로 여장을 두었으며 사방에 치를 두어 침입에 대비했다.성문은 동·서·남쪽 3곳에 있었고 옹성 형태였지만 지금은 성벽 일부를 복원한 것 외에는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남포읍성 성내...
    2021.05.27 15:29
  • 충남보령 수영성

    ■ 조선 시대 수영성 연구의 사료로 큰 가치외세 침략 대항한 국난극복의 현장바다 한눈에 보이는 ‘영보정’ 복원해산루·성벽 일부도 제 모습 찾아옛 성곽 보존 위해 연구·발굴 지속 ■ 5대 수영 중 하나충청도 해안을 방어하는 최고 사령부 역할을 했던 충청수영은 전라좌수영·전라우수영·경상좌수영·경상우수영과 함께 우리나라 5대 수영 중 하나다. 충청수영성을 제외한 나머지 수영성들은 대부분 일부 성곽만 ...
    2021.05.25 15:13
  • 제주 조천진성, 작은 규모... 본토 갈 때 휴식처 이용

    ■ 작은 규모, 본토 갈 때 휴식처로 사용제주시 조천읍 조천리에 있는 조천진성은 성문 1개에 둘레 146m, 높이 2.7m로 제주도의 9개 진성 가운데 가장 작은 규모를 갖추고 있다.하지만 작은 규모에도 불구하고 둘러싼 성곽에서 단단함이 느껴지는 모습의 진성이다.조천진성이 처음 축조된 것은 고려시대로 알려져 있으며 1374년(공민왕 23) 객사인 조천관(朝天館)이 창건되고 1590년(선조 23) 이옥(李沃) 목사 때 성을 중수했...
    2021.05.24 15:40
  • 제주 별방진, 우도 지키던 동쪽 큰성

    ■ 왜적에게서 우도 지키던 동쪽 큰 성별방진(성)은 제주시 동쪽으로 우도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옛날 이곳에 출몰하는 왜적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전해진다. 바닷가에 있는 이 성은 타원형으로 성곽 둘레는 1008m, 높이는 3.5m 정도며 내부에 보축벽이 쌓여 있는 등 제주도 동쪽 지역에서는 가장 큰 진성이다.동·서·남쪽으로 문 3개와 7개소의 치성이 있는데 성곽과 치성은 잘 보존된 편이지만 문...
    2021.05.20 14:50
  • 제주 명월성지, 전형적인 조선시대 성문 모습

    ■ 전형적인 조선시대 성문의 모습제주도 동쪽 한림읍 동명리에 있는 명월진성은 바닷가에 접해 있지 않고 약간 내륙 쪽에 쌓은 석성이다. 타원형인 성의 규모는 둘레 1,360m, 높이가 4.2m며 동·서·남쪽에 성문이 있었는데 현재는 남문과 문 위의 누각, 일부 성벽이 복원된 상태다. 남문 앞쪽으로 옹성이 둘러져 있는 등 전형적인 조선 시대 성문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운 성명월진성은 처...
    2021.05.18 10:44
  • 제주 정의읍성

    정의현의 도읍지는 본래 성산읍 고성이었는데 왜구의 침범이 잦아 중심지로는 좋지 못하여 읍성의 중심을 지금의 성읍으로 옮겼다. 정의성 내에는 현감이 집무하였던 일관헌과 정의향교 및 여러 관서들이 들어서 있다. 제주도의 다공질현무암으로 쌓았다. ■ 성읍민속마을이 있는 곳제주도 동남쪽 내륙 지역에 위치한 정의읍성은 제주도의 성 중에 유일하게 성곽과 함께 동문·서문·남문, 그리고 모든 문 위에 문루(門...
    2021.05.17 07:08
  • 구독신청
  • 광고안내
  • 국방홍보원
  • 국방TV
  • 국방FM
COPYRIGHT (C) 2022 DEM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