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전투준비안전단, 자살예방포럼
관계관·전문가 참석해 협력체계 구상
국가 차원 정책과 연계 개선방안 모색
|
소중한 장병들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민·관·군이 함께 소통하는 장이 마련됐다.
육군전투준비안전단은 12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제1회 민·관·군 자살예방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국회자살예방포럼위원회와 한지아·부승찬·백선희 의원이 주최하고,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국방부·육군본부·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한국생명운동연대가 공동주관했다.
행사에는 김규하 육군참모총장을 비롯한 국방부·육군·보건복지부 주요 관계관과 각계 전문가가 참석해 ‘군인 자살예방을 위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주제로 자살예방을 위한 민·관·군 협력체계를 구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자살예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전투준비안전단은 “군 자살예방시스템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선 군 내부에 한정하지 않고 국가적 차원의 자살예방 정책과 연계해야 한다는 취지로 이번 포럼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포럼에선 △국가 자살예방전략과 연계한 군 자살예방 대책 △법·제도 개선 필요성 △상담이 군 자살예방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등이 폭넓게 논의됐다.
발표자로 나선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권희연 팀장과 평택대학교 차명호 교수는 2025 국가자살예방전략과 연계한 군 자살예방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정부의 정책기조와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두 전문가는 자살이 군만의 문제가 아닌 ‘입대 전-복무 중-전역 후’로 이어지는 복합적인 문제인 만큼 민·관·군이 하나 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참석자들은 포럼을 통해 외부 전문기관과 협력 강화, 군 자살예방시스템의 질적 향상, 대국민 신뢰 제고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민·관·군이 함께하는 통합 자살예방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전창영(군무이사관) 전투준비안전단장은 “오늘 포럼은 민간과 군이 하나의 생명공동체로 나아가는 역사적인 출발점”이라며 “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과 시스템 발전 방향을 확인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정부와 국회, 군과 국민이 함께 손을 맞잡고 생명존중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겠다”고 덧붙였다.
육군은 자살예방을 군 내부의 과제로 한정하지 않고 국가적 생명보호 사명으로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이원준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