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첨단기술군 시대의 국방인력] 4차 산업혁명시대 리더십보다 소통능력 필요

입력 2019. 01. 16   16:06
업데이트 2019. 01. 21   13:12
0 댓글

국방일보-KIDA 공동기획, 새해 안보정세 전망과 국방정책 과제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군인에게 전통적으로 요구되던 능력보다 네트워크 및 정보통제 능력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사진은 2017년 4월 해군군수사령부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무인감시체계를 살펴보는 모습.  국방일보DB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군인에게 전통적으로 요구되던 능력보다 네트워크 및 정보통제 능력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사진은 2017년 4월 해군군수사령부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무인감시체계를 살펴보는 모습. 국방일보DB


우리 군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기술을 군사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해 왔고 이런 노력은 지속될 것이다.
·
그러나 지금까지의 논의는 대부분 신기술을 적용한 하드웨어 준비태세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신기술을 적용한 교리, 작전계획, 각종 제도는 물론 이를 개발·운용할 인적 자원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기술은 네트워크 고도화에 기반한 전장 통합, 센서와 슈터의 통과 정보 흐름에 따른 자동 동기화, 자율 및 반자율 무인체계의 활용 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전통적으로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던 작업이 컴퓨터나 인공지능 참모들에 의해 이뤄질 것이며 이는 필연적으로 조직의 소규모화 및 모듈화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시대의 전쟁에서는 전통적 이미지를 지닌 일반화된 인적 자산으로는 대응이 제한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군인에게 전통적으로 요구되던 능력보다는 네트워크 및 정보통제 능력이 더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군은 엄격한 위계질서와 상명하복에 기반을 둔 조직이어야 한다고 믿어왔지만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통제·주도형 리더십보다는 위임형 리더십과, 개방적이고 협업이 가능한 소통능력 등이 요구될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정보통신체계와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에 따른 정보 및 분석 시간의 급속한 단축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시간 역시 단축시킬 것이다. 따라서 미래의 군인들은 정확하고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군인에게 요구되는 변하지 않는 것은 건전한 직업윤리다. 전투는 명분과 목적이 있더라도 인간에게 죽음과 고통을 강요하는 파괴적 행위다. 더욱이 인간은 선천적·후천적으로 살상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살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살상에 대한 거부감도 급격히 줄어든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전쟁은 살상에 대한 물리적 거리를 확장시킬 뿐만 아니라 가상공간에서 일어나는 일로 착각하게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군인들에게 살상에 대한 거부감을 급속도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군인은 무력을 관리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이기에 민간인과는 다른 특별한 직업윤리를 지녀야 한다.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시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하는 인력의 탄력적 양성과 활용에서 과감한 제도적 혁신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규모의 관리에서 수준별 요구되는 능력 관리, 공통적인 일반형 관리에서 전문형·맞춤형 관리, 선발-양성-배치 등 인사순환 전체에서 일관성 있는 목적형 관리 등이 새로운 양성 및 활용의 방향성이다.


예를 들어 육군에서 진행한 드론병의 모집 및 활용처럼 소수의 특수분야 인력에 대한 모집은 시발적 움직임이다. 다량의 동일 기준이 아닌 특정 분야를 겨냥한 맞춤형 소수의 인력 양성과 활용 방식이다. 이는 비단 군인의 문제가 아니다. 군무원 및 민간인력의 활용에도 동일한 제도적 전환이 모색돼야 한다.

글 = 김인국 한국국방연구원 병영정책연구실장


■ 글 싣는 차례

▶ 기획을 시작하며


□ PART  Ⅰ: 안보정세 전망

1. 글로벌 안보정세
2. 미국의 안보정세
3. 일본의 안보정세
4. 중국의 안보정세
5. 러시아의 안보정세
6. 북한의 안보정세
7. 국방환경 여건 및 전망

□ PART Ⅱ : 국방정책 과제 

8. 한미동맹 미래비전 수립

9. 전방위 국방협력
10. 안보환경과 군사적 뒷받침
11. 한미연합연습의 진화적 발전
12. 국방개혁2.0과 국방역량
13. 4차 산업혁명과 군사력발전
14. 국방인력구조 변화관리
15. 첨단기술군 시대의 국방인력
16. 군사시설과 민·군갈등 완화
17. 방위산업 기반 강화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