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in 국방일보 - 1995년 7월 4일 자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 예전엔 일반적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급여체계도 그중 하나입니다. 예전엔 부대별로 은행에서 장병들의 급여를 인출해 대상별로 분류, 현금으로 지급하곤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간·행정 소요가 적지 않았고 금전사고라도 발생하면 부대가 발칵 뒤집히곤 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한 시스템이 바로 전산 지급체계입니다. 군은 전산 지급으로 투명성과 효율성은 물론 예산 낭비까지 줄일 수 있었습니다. 1995년 7월 4일 자 국방일보에선 이러한 급여 전산체계의 군 내 도입 초기 과정을 엿볼 수 있는 기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기사는 육군2127부대가 급여 전산화시스템을 본격 가동하며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급여 전산망 통해 지급 투명성 보장’이라는 주 제목은 물론 ‘수작업·다단계 지급 불편 일시해소’ ‘국방예산 누수방지·인력-시간 획기적 절약’ 등 다양한 부제목으로 급여 전산시스템의 장점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에 의하면 해당 부대는 관련 시스템의 시범운용부대로 지정돼 제도 도입 준비를 마친 뒤 1995년 7월 1일부터 급여 전산체계를 본격 시행했습니다. 부대관리참모였던 김대식 중령이 핵심적 역할을 수행했는데, 2년 전 본인이 다른 사단에 근무하던 중 개발했던 시스템을 수정·보완해 적용했습니다.
기사는 급여 전산체계 운용의 최우선 사업으로 부대 전산망 구축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사단의 경우 연대 및 대대의 도급경비 취급 공무원으로부터 각 예하부대별 개인 급여 계좌 및 급여 변동자료를 접수하고 사단 인사처로부터는 장교의 급여 관련 인사명령을, 부관부로부터는 병사 및 하사관의 인사명령을 받아 이를 전산관리해 정확한 사단 병력 현황을 유지하게 된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산출된 급여는 보조기억매체인 디스켓 또는 카트리지 테이프를 이용해 간부의 경우는 금융기관 개인 계좌에, 병사의 급여는 중대 단위 계좌에 입금시켜 간부는 개인적으로 인출하고 병사 급여는 중대별로 단체 인출해 개인에게 나눠 주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급여 전산체계 도입으로 ‘금전사고 발생 원인 제거’ ‘전투부대 행정부담 경감’ ‘신속·정확한 급여정보 산출’ 등 직접적 효과는 물론 ‘보급품·물자 및 예산 할당에 필요한 적정 배분의 기준 제시를 통한 예산 절약’ 등 간접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후 급여 전산체계는 육군 차원으로 확대됩니다. 기사는 말미에 당시 육군참모총장이 그해 3월 제도의 적극 추진을 지시해 1997년 1월 1일부로 전군 확대 적용 방침이 결정돼 준비 중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영선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