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얼마나 깨끗한가
한네 튀겔 지음/배명자 옮김/반니 펴냄
매일 우리는 몸의 오염을 씻어내고, 집안과 옷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화학물질과 미세 플라스틱이 든 갖가지 제품을 쓰고 버린다. 하지만 청결을 위한 인간의 소비 뒤에는 각종 쓰레기와 함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들도 남는다.
독일 다큐멘터리 잡지의 편집자로서 수십 년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관한 글을 써온 저자는 “인류가 만들어낸 ‘쓰고 버리는 문화’에서 생산된 상품은 소비된 뒤에 ‘쓰레기’의 형태로 우리에게 복수한다”고 지적한다. 미세 플라스틱은 분해되지 않은 채 수백 년 동안 우리 곁에 머물고, 화학물질은 먹이사슬을 따라 축적돼 부메랑처럼 인간에게 돌아온다. 미세먼지와 산화질소는 매일 우리의 호흡기를 위협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손 소독제 등 항균제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지만, 과도한 항균 물질 사용은 몸에 이로운 박테리아의 균형 잡힌 환경을 해칠 뿐만 아니라 몸에도 해롭다.
저자는 비누만 있으면 개인위생은 충분하다고 이야기한다. 발 탈취제, 물티슈, 스프레이 방향제, 다용도 세척제가 정말 우리 세상에 필요한지는 의문이며 먼지와 세균에 공포를 느끼는 것은 무관심한 것만큼이나 잘못된 반응이라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충분한 수면으로 신체의 오물 방어력을 강화하자’, ‘공격적인 세제와 케어 용품을 쓰지 말자’, ‘창문을 열자’, ‘식물을 실내 유해물질 필터로 활용하자’, ‘캡슐 커피를 버리자’와 같은 생활 속 실천 방안을 제안한다. 최승희 기자
최승희 기자
< lovelyhere@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