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완결 6·25 지원국열전

“전 세계 국가 63%가 한국과 함께했다”

김철환

입력 2013. 07. 25   17:32
0 댓글

<22·끝>16개 나라서 병력 보내 싸웠고 5개 국가는 의료지원 42개국 물자지원· 지원의사 표명…전후 복구 도와


 6·25전쟁이 발발하자 63개 국가가 대한민국을 돕기 위해 나섰다. 이는 당시 전 세계 국가가 93개였음을 감안하면 3분의 2에 가까운 63%의 나라가 대한민국 편에 선 것이다. 이 중 16개 국가는 병력을 보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적과 맞서 싸웠으며, 5개 국가는 의료지원을 펼쳤다. 39개 국가는 물자를 보내 전쟁기간과 전후 대한민국의 복구에 도움을 줬으며, 3개 국가가 물자지원 의사를 표명했다. 유엔군 참전·정전 60주년을 맞아 물자지원·지원의사 표명 국을 소개하고 참전·의료지원국의 활약상을 기억하기 쉽게 키워드로 정리했다.

 


 우리 민족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이라는 어려운 시기를 겪었음에도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놀라운 발전을 일궈내 오늘날 세계 주요 20개국(G20) 반열에 들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국민이 땀과 노력으로 일궈낸 결실이지만, 6·25전쟁 당시 이뤄진 세계 각국의 물자지원이 대한민국 수호에 일조하고 재도약의 밑바탕이 된 것도 사실이다.

 

● 유엔의 적극적인 원조 요청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한국 국민이 당하고 있는 인고와 결핍을 인식하고(중략) 유엔 사무총장에게는 경제이사회, 유엔의 유관기관, 기타 비정부기관 등에도 안전보장이사회를 대신해 한국 민간인에 대해 원조요청을 하도록 했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6·25전쟁 초기에 적에게 국토 대부분을 빼앗기고 재산과 물품을 약탈당한 대한민국을 돕기 위해 1950년 7월 31일 이와 같은 민간인 구호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어서 유엔은 11월 14일에 한국 국민을 위한 구호물품과 경제재건을 위한 한국구제재건 계획을 결의했다. 이와 함께 같은 해 10월 창설된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도 세계 각국 정부와 기관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유엔의 이와 같은 노력에 호응해 세계 39개 국가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으며, 3개 국가가 돕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물자지원국들의 지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

 1951년에 라이베리아가 생고무 등 1만5000달러 규모의 현물을, 멕시코가 닭고기 등 34만6821달러의 식량, 버마 역시 4만9934달러 규모의 식량, 베네수엘라가 18만842달러의 현금과 의료품, 아이슬란드가 4만5400달러의 현물, 이스라엘이 9만6600달러의 미곡과 의약품, 일본이 14만3706달러의 현물, 에콰도르가 9만9441달러의 미곡, 자메이카가 2만5167달러의 미곡, 쿠바가 27만962달러의 미곡과 의약품, 캄보디아가 2만7429달러의 현금과 미곡, 파키스탄이 37만8285달러의 현금과 소맥을 보냈다. 같은 해 코스타리카와 헝가리도 물자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규모는 미상이다.
 

● 유엔 비회원국도 지원에 나서 

 1952년에 레바논이 5만 달러의 현금, 베트남이 1만1943달러의 현물, 사우디아라비아가 2만 달러의 현금, 아르헨티나가 50만 달러의 식량과 의약품·비누, 이란이 3900달러의 미곡과 직물, 인도네시아가 14만3706달러의 현금, 오스트리아가 361만6446달러의 현금과 미곡, 온두라스가 2500달러의 현금, 대만이 63만4782달러의 석탄과 연료·미곡을 지원했다.

 1953년에 과테말라가 7704달러의 목재, 도미니카가 27만5200달러, 시리아가 3650달러, 스위스가 31만3954달러의 현금과 물자, 이집트가 2만8716달러의 현물, 엘살바도르가 500달러의 현금, 칠레가 25만 달러의 현금, 파나마가 3000달러를 보내왔다.

 이후 1956년까지 서독이 4만7619달러의 현물, 리히텐슈타인이 465달러의 현금, 모나코가 1144달러의 현금과 물자, 파라과이가 1만 달러의 현금, 페루가 5만8723달러의 군화 밑창, 교황청이 1만 달러의 현금으로 대한민국을 도왔다. 특히 우리나라의 단비부대가 지난해까지 2년 10개월간 재건지원으로 도움을 준 바 있는 아이티도 1954년 2000달러의 현물을 보내줬다는 사실이 눈길을 끈다.

 이 밖에 브라질과 니카라과·볼리비아도 1950년에 지원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브라질은 270만 달러 상당의 물자를 지원하기로 약속했지만, 국내 사정으로 인해 실제 이뤄지지는 못했다. 볼리비아와 니카라과는 각각 전문장교 파견과 쌀 지원 의사를 밝혔으나 수송 등의 문제로 인해 유엔에 제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6·25전쟁 시 유엔을 통한 각국의 지원연구’를 한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의 양영조 군사사부장은 “헝가리와 이스라엘·베트남 등 많은 유엔 비회원국도 한국의 자유와 평화, 그리고 구호와 재건을 위해 동참했다”며 “전 세계 국가 중 63%가 한국을 지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 63개국 지원 어떤 의미가 있나?-참전국 연구는 6ㆍ25전쟁 역사 바로잡는 계기

 

 오랫동안 한국에서는 6·25전쟁 때 우리나라를 도운 나라로 참전 16개국과 의료지원 5개국만 기억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 같은 ‘전형적인 기억’에 변화의 조짐이 생긴 것은 대략 2011년을 전후한 시기부터다. 안재철 월드피스 자유연합대표가 “6·25전쟁 때 한국을 도운 나라는 67개국”이라고 주장하면서 물자지원국까지 합산해 6·25 지원국을 재조명해보려는 움직임이 시작된 것이다.

 민간에서 새로운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국방부는 군사편찬연구소를 중심으로 2011년 연구에 착수, 지난 2012년 6·25 지원국은 모두 63개국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군사편찬연구소 군사사부장 양영조 박사는 유엔이 한국을 돕기 위해 창설한 유엔한국재건단(UNKRA)과 한국민간구제단(CRIK) 자료, 유엔연감 등을 활용해 전쟁 기간뿐만 아니라 UNKRA를 통한 지원이 계속됐던 1950년대 후반까지의 지원 내역을 토대로 물자지원국을 계산했다.

 그 결과 6·25 물자지원국은 그동안 알려진 20개국보다 많은 39개국이란 것이 연구결과다. 여기에 지원 의사를 표시했으나 여러 가지 사유로 지원하지 못한 나라가 3개국이 있었다. 여기에 전투지원국 16개국과 의료지원국 5개국을 더해 6·25 지원 63개국이란 숫자가 나온 것이다.

 당시 세계 독립국이 93개국에 불과했고, 유엔회원국도 60개국에 불과했기 때문에 63개국이란 숫자는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이 양 박사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결론이다. 지원국이 그만큼 많다는 이야기는 “6·25전쟁 당시 수많은 국가의 지원과 지지 속에 대한민국을 지켜냈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김희상(예비역 육군 중장)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이사장도 6·25전쟁 지원국을 재조명하는 움직임에 대해 “6·25 역사를 바로잡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이사장은 “지원국 연구결과를 통해 북한을 지원한 나라는 소련, 중국과 일부 공산권 국가뿐인데 비해 세계 절대다수 국가가 우리를 지원하고 그럴 의지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김철환 기자 < droid001@dema.mil.kr >
김병륜 기자 < lyuen@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